✿1945년 1월 30일
독일 초호화 여객선 빌헬름
구스틀로프호, 소련 해군 잠수함에 격침
1945년 1월 30일 아침 동프러시안 가드니아. 초대형 유람선이 자신의 운명을 알지 못한 채 유유히 항구를 빠져나가고 있었다.
그날 밤 발트해 한복판에 있었던 유람선이 갑자기 바다 밑으로 가라앉기 시작했다.
1937년 5월 빌헬름 구스틀로프호의 진수식이 열렸다.
나치 독일은 국민들의 심신 단련과 휴양
을 목적으로이 배를 제작했는데 당시 폭스
바겐의 비틀 자동차, 국민 라디오와 함께 나치 선전도구로 이용되었다.
빌헬름 구스틀로프호는 안락하고
쾌적한 해외여행을 위한 각종 운동시설, 대형수영장 등 다양한 위락시설들이마련
되어 있어 배 안에는 연일 사람들의 웃음
소리가 끊이질 않았다.
그러나 1929년 9월 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고 빌헬름 구스틀로프호는 더이상 출항 할 수 없게 되었다.빌헬름 구스틀로
프호가 발트해에 다시 그 모습을 드러냈을 때, 배 안에서는 신음소리와 절규만이 가득했다.
빌헬름 구스틀로프호가 부상병을 나르
는 병원선으로 그 목적이 달라졌기 때문
이었다.2차 세계대전이 끝나갈 무렵 독일
군의 패색이 짙어졌고, 그동안 독일군의 만행에 시달렸던소련군은 군인들 뿐만 아니라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민간인
들까지 학살했다.
이에 독일의 칼 되니츠 총통은 부상병과 민간인 200만명을 독일 서부의 안전한 곳에 이주시키기 위한 ‘한니발 작전’을 명
령했고 당시 여객선이나 화물선, 군함 등 모든 종류의 배가 이 작전에 총동원되었다.
빌헬름 구스틀로프호도 피난민 구출
작전에 투입되었다. 전쟁의 공포에 떨었던 피난민들에게빌헬름 구스틀로프호는 자신
들의 목숨을 지켜줄 마지막 희망이자 구원
의 배였다.
당시 승무원이었던 하인츠 쉰의 증언에 따르면 총 승객은 10,582명이었고, 그 중 8,956명이 피난민이었으며, 대부분이
여성과 아이들이었다.
빌헬름 구스틀로프호에는 총 4명의
함장이 타고 있었는데,당시 최고 연장자
였던 프리드리히 패터슨의 의견에 따라 빌헬름 구스틀로프호는 발트해의 깊은 바
다를 항로로 삼았고, 항해등을 켠 채 운항
하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항해등을 켠 채로 달린 빌헬름 구스
틀로프호는 어두운 밤에도 너무 쉽게 눈에 띄였고결국 출항한지 하루도 못되어 소련 잠수함 S-13호에 의해 발견되었다.
S-13호는 4발의 어뢰를 발사시켰고 그
중 3발이 명중했다.어뢰를 맞은 빌헬름 구스틀로프호는 아비규환이 되었고 어뢰 공격을 당한 후 1시간 10여분 만에 침몰
했다.
배에 타고있던 피난민들은 어뢰에 직접
적인 충격으로 사망하거나 발트의 차가운 바닷물에 빠져 저체온증으로 목숨을 잃고 말았다.
그렇게 100,000여명이 넘는 피난민 중 9,343명이 목숨을 잃었고,이는 최대 해상
사고로 알려진 타이타닉호 침몰 사건의 사망자보다 무려 6배나 많았다.
전쟁이 끝난 후 빌헬름 구스틀로프호의 비극은 침묵 속에 묻히고 말았다.그리고 사고 발생 57년 후인 2002년 독일의 대표
작가 귄터 그라스의 ‘게걸음으로 가다’가 발표되면서그동안 금기시 되어오던 빌헬름 구스틀로프호 사건이 세상에 공개되었다.
이 소설이 아니었다면 빌헬름 구스틀로
프호 침몰 사건은 영원히 수장되었을 수도 있었던 것이었다.전쟁의 소용돌이에 휘말
려 안타깝게 죽어갔던 빌헬름 구스틀로프
호의 피난민들은 지금도 그 비극을 간직한 채북위 55도 7분, 동경 17도 41분, 수심 60m 해역에 조용히 잠들어 있다.
▶2011년김재순 前 성심여대 총장 별세
▶2010년국악학 선구자 이혜구 선생 별세
▶2010년길창덕 화백 별세
▶2009년북한 "남북 기본합의서 NLL조항 폐기"
▶2005년이라크의 첫 자유 총선거
▶2000년에밀레 박물관장 조자용씨 별세
▶2000년케냐항공 소속 에어버스 A310기 아비장 이륙 후 바다추락. 169명 사망
▶1999년강원 동계아시안게임 개막
▶1996년아프리카 잠비아주재 북한대사관 현성일 3등서기관 서울 도착
▶1994년국산주전산기 III 개발 완료
▶1992년이재형 前 국회의장 별세
▶1992년KT(구 한국통신), 국제영상회의 시스템 서비스 발표
▶1992년북한, 국제원자력기구(IAEA) 핵안전협정 서명 및 핵사찰 실시
▶1991년미국의 물리학자 바딘 사망 -
▶1956년 트랜지스터 발명,
▶1972년 초전도이론 개발으로 노벨상 수상
▶1988년소설가 소영(素影) 박화성 별세
▶1984년일본, 세계최초의 256KS램 개발 성공
▶1980년북한, 총리회담 예비접촉 수락
▶1975년독일 작곡가 보리스 블라허 사망
▶1974년한일대륙붕협정 체결
▶1972년‘피의 일요일’, 북아일랜드 사태 격화
▶1971년한국-피지 국교 수립
▶1969년이희승 등 140명, 한글전용반대 성명
▶1967년조달기금법안 통과, 한국외환은행 발족
▶1964년베트남 군부쿠데타(2차)로 웬칸 장군 집권
▶1964년미국 달 위성 레인저 6호 발사 성공
▶1959년오스트리아의 자동차 공학자 포르셰 사망1
▶959년일본 외상, 국무회의에서 재일교포 북송을 발표
▶1958년독일의 항공기 설계자 하인켈 사망
▶1958년김포공항 국제공항으로 정식 지정
▶1954년유네스코한국위원회 발족
▶1953년부산 국제시장 대화재
▶1952년국제전기통신연합(ITU) 가입
▶1951년폴크스바겐 원형의 설계자이자 포르셰의 창업자 페르디난트 포르셰 사망
▶1949년중국군 북경 입성
▶1948년윤동주 유고시집, '하늘과 별과 바람과 시' 초판 간행
▶1948년한국, 첫 동계올림픽(제5회 스위스 생모리츠 동계올림픽) 참가
▶1948년마하트마 간디 피살1948년미국 비행기 발명가 오빌 라이트 사망
▶1939년조선일보, 조선 여성백과사전 `청규박물지`의 첫 발견을 보도
▶1933년히틀러 독일 수상에 취임
▶1927년스웨덴 올로프 팔메 수상 출생
▶1924년제1차 국공합작(중국 국민당 제1회 전국대표자대회에서 집행부에 공산당원이 선출)
▶1919년이병철 삼성그룹 회장 출생
▶1913년발칸동맹, 대 터키 강화 담판 결렬
▶1909년미국-카나다, 나이아가라 폭포 공동보호협정 체결
▶1902년제1차 영일동맹 조인
▶1902년시베리아철도 (블라디보스톡 - 하바로스크 구간) 개통
▶1899년대한천일은행(현 상업은행) 창립
▶1895년러시아 황제 전제정치 선언
▶1882년미국 26대 대통령 데오도르 루즈벨트 출생
▶1878년러시아,터키 휴전조약 체결
▶1781년독일 시인 샤미소 출생
▶1649년영국 국왕 찰스1세 처형
▶1637년병자호란때 인조 남한산성에서 청나라에 항복
▶1621년조선, 무과에서 대리시험이 공공연히 자행
▶자료출처☞http://:goo.gl/GU8MEk
https://youtu.be/PVMHXfMGDoU
'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한민국 대표 뉴스 큐레이션 류효상의 고발뉴스 조간브리핑] 2019년 1월 30일 신문을 통해 알게 된 이야기들 (0) | 2019.01.30 |
---|---|
🌺 1월 30일의 꽃은 칼세올라리아 (Slipperwort, Pocketbook Plant) (0) | 2019.01.30 |
오늘의 날씨-1월30일 (0) | 2019.01.30 |
☆내일의날씨☆ 1월29일 (0) | 2019.01.28 |
[대한민국 대표 뉴스 큐레이션 류효상의 고발뉴스 조간브리핑] 2019년 1월 28일 신문을 통해 알게 된 이야기들 (0) | 2019.01.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