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탄생화
꽃말 : 자중
꽃말이야기 : 감수성이 예민한 사람이군요. 좋고 싫고가 명확하여 그것을 감추는데 서투르군요. 조금쯤은 참는 것도 필요합니다.
요약 : 외떡잎식물 벼목 사초과 사초속 식물의 총칭.
학명 : Carex
계 : 식물
문 : 속씨식물
강 : 외떡잎식물
목 : 사초목
분포지역 : 전세계
서식장소/자생지 : 온대지방 이상의 습지
여러해살이풀로 땅속줄기가 있다. 열대에서 한대까지, 건조한 바위틈에서 습지에 이르기까지 널리 분포하지만 특히 온대지방 이상의 습지에서 자란다. 줄기는 세모지며 속이 차 있다. 잎은 주로 뿌리에서 돋는다. 밑동의잎집은 대부분 갈색이거나 자줏빛을 띤 갈색이다.
작은이삭은 1개씩 끝에 달리거나 2개 이상이 이삭이나 원뿔 모양으로 달린다. 작은이삭에 비늘조각이 있고 화피가 없는 단성화(單性花)가 달린다. 수꽃에는 3개의 수술, 암꽃에는 1개의 암술이 과포(果苞) 안에 들어 있으며 2∼3개의 암술머리가 있다.
작은이삭이 개찌버리사초처럼 총상으로 달리는 종류는 위쪽에 달린 1∼2개가 수꽃이삭이고, 곁작은이삭이 암꽃이지만 나도별사초와 같이 작은이삭이 이삭 모양 또는 원뿔 모양으로 달리는 것은 보통 양성이다. 열매는 렌즈형 또는 세모형이고 암술대가 남아 있다. 세계에 1,500∼2,000종이 있으며 한국에는 140종 정도가 자란다.
분류
분류는 매우 어렵지만 분류하는 데 필요한 중요 형질은 수과 모양, 과포 모양, 비늘조각 모양과 빛깔, 작은이삭의 수와 성별, 작은이삭자루, 작은이삭 밑의 전엽(前葉), 포의 모양, 간기부(稈基部)의 형태와 빛깔 등이며 2개의 아속(亞屬)으로 나눈다.
나도별사초아속은 작은이삭이 양성이고 곁작은이삭에 전엽이 없다. 포는 초로 되지 않으며 암술머리는 보통 2개이지만 나도별사초와 통보리사초처럼 3개인 것도 있다.
참사초아속은 5개의 집단으로 나눈다. 끝에 1개의 작은이삭이 달리고 암술머리는 3개이며 수과가 세모진 것은 바늘사초·솔잎사초 등이며, 암술머리가 2개인 것은 나도별사초아속에 속한다. 작은이삭이 2개 이상 달리는 것 가운데, 암술머리가 2개로서 포에 초가 없는 것은 바랭이사초, 포에 초가 생기는 것은 왕밀사초, 홍노줄사초, 줄사초 등이다.
암술머리가 3개로서 포에 초가 없는 것은 언덕사초, 개찌버리사초, 흰사초, 삿갓사초 등이며 포에 잎집이 있는 것은 양지사초, 청사초, 대사초, 새방울사초 등이다.
🎁 9월 19일의 탄생석 : 래쥴라이트 (Lazulite) - 명상력
'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 날씨✧9월20일 (0) | 2018.09.20 |
---|---|
9월 19일 신문을 통해 알게 된 이야기들 (0) | 2018.09.19 |
✧오늘의 날씨✧ 9월19일 (0) | 2018.09.19 |
9월 18일 신문을 통해 알게 된 이야기들 (0) | 2018.09.18 |
9월 18일 : 엉겅퀴 (Thistle) 지느러미엉겅퀴 (0) | 2018.09.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