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탄생화
꽃말 : 위로
꽃말이야기 : 사랑하는 사람에게는 목숨을 다 바치는 타입이지만 금방 싫증 내겠군요.
楚(초)나라 項羽(항우)가 죽은 후 虞姬(우희)가 自刎(자문)하였는데 그의 묘 위의 풀을 후세 사람들이 美人草(미인초)라 하였다 함.
◎ 개양귀비
학명 Papaver rhoeas
이명 : 우미인, 우미인초, 물감양귀비, 꽃양귀비
계 식물
문 속씨식물
강 쌍떡잎식물
목 양귀비목
원산지 유럽
크기 높이 30∼80cm
속명의 Papaver는 옛 라틴명으로 ‘papa(죽)’라는 뜻으로 양귀비의 유액(乳液)에 최면제가 들어 있어 죽에 섞어서 아기를 잠재웠다는 데서 유래.
우미인초(虞美人草)·애기아편꽃이라고도 한다. 높이 30∼80cm이다. 전체에 털이 나고 줄기는 곧게 선다. 잎은 어긋나고 깃꼴로 갈라지며 갈라진 조각은 줄 모양 바소꼴로서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보통 붉은색이지만 품종에 따라 여러 빛깔이 있으며 5∼6월에 피는데, 가지 끝에 1개씩 달린다. 꽃이 피기 전에는 꽃망울이 밑을 향해 있으나 필 때는 위를 향한다. 꽃받침잎은 2개로 녹색이고 가장자리는 흰색이며 겉에 털이 난다. 꽃잎은 4개가 서로 마주나고 약간 둥글다. 수술은 많고 씨방은 달걀을 거꾸로 세워놓은 모양이며 털이 없다. 암술대는 방사형(放射形)이다. 열매는 삭과로 달걀을 거꾸로 세워놓은 모양이며 길이 약 1cm이다.
유럽 원산이다. 관상용으로 심으며 한방에서 해수·복통·설사 등에 처방한다. 양귀비와 비슷한 꽃이 피기 때문에 개양귀비라고 하며, 중국에서는 우미인초라고 한다.
초(楚)나라 항우의 애첩 우미인은 항우가 유방의 군대에 포위되자, 술자리에서 석별의 정을 읊는 항우의 시에 맞추어 노래를 부른 뒤 목숨을 끊었다고 한다. 나중에 우미인의 무덤에 핀 꽃이라고 하여 이 이름을 붙였다.
🎁 8월 1일의 탄생석 : 시트린(Citrine) - 달콤한 추억
'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일의 날씨✧8월2일 (0) | 2018.08.01 |
---|---|
대한민국 대표 뉴스 큐레이션 2018 8월 1일 신문을 통해 알게 된 이야기들 (0) | 2018.08.01 |
✧오늘의 날씨✧8월1일 (0) | 2018.08.01 |
오늘의 운세, 8월 1일 수요일 [음력 6월 20일] 일진: 을축(乙丑) (0) | 2018.08.01 |
✧내일의 날씨✧8월1일 (0) | 2018.07.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