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ife

7월 24일 : 연령초 (延齡草 Wake-robin / Trillum)

by 제임스67 2018. 7. 24.
728x90
반응형
SMALL

🌹 탄생화 / 작성자 : 조웅

꽃말 : 그윽한 마음
꽃말이야기 : 사랑고백에 서투른 당신. 행복을 위해서는 사랑을 표현하는 방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군요.

요약 :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 Trillium kamtschaticum
계 : 식물계(Plantae)
문 : 피자식물문(Angiospermae)
강 : 외떡잎식물강(Monocotyledoneae)
과 : 백합과
분포지역 : 한국(북부), 중국 북동부, 시베리아 동부, 일본, 캄차카
서식장소/자생지 : 숲속
크기 : 높이 20∼40cm, 잎의 길이와 나비 7∼17cm, 꽃밥 길이 10∼15mm, 장과 지름 15mm

약으로 썼을 때 수명을 연장하는 풀이라는 뜻으로 연령초라 한다. 숲속에서 자란다. 영문명으로 Birthroot라고도 한다. 굵고 짧은 뿌리줄기에서 원주상의 대가 자라서 끝에 잎자루가 없는 3개의 잎이 돌려나며 높이 20∼40cm이다. 줄기는 1∼3개이다. 잎은 넓은 달걀 모양으로 사각형 비슷하고 길이와 나비가 7∼17cm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3∼5맥이 발달한다.

꽃은 5∼6월에 피고 흰색이며, 돌려난 잎 중앙에서 꽃대가 자라서 끝에 꽃이 1개씩 달린다. 꽃잎의 길이는 2.5∼4.5cm이며 꽃잎과 꽃받침조각은 3개씩이고 수술은 6개이다. 꽃밥은 수술대보다 길고 길이 10∼15mm이며 선형이다. 열매는 장과(漿果)로 둥글고 지름 15mm 정도이다.

중국에서는 큰연령초를 연령초라 하고, 뿌리줄기를 말려서 연령초근이라 하며, 위장약, 수렴제, 자극, 통경 및 거담제로 한다. 한국에서는 큰연령초와 함께 사용한다. 한국(북부), 중국 북동부, 시베리아 동부, 일본, 캄차카에 분포한다.

한의학에서는 연령초의 뿌리를 우아칠(芋兒七)이라 하여 한약재로 활용한다. 한의학에서는 연령초가 맛은 약간 달거나 매운 맛이 있으며 성질은 평이하거나 약간 따뜻한 약으로 분류한다.

이러한 특성을 가진 연령초는 주로 혈액순환을 증가시키거나 지혈작용을 하며 정신을 안정시키는 효능을 발휘한다. 그러기에 한의학에서는 연령초를 고혈압이 있어 머리가 아프거나 어지러움을 호소하는 환자에 활용한다.

또한 몸을 다쳐서 심하게 타박상을 입은 경우거나 허리나 다리에 심함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에도 활용한다. 외상으로 다쳐서 출혈이 있는 환자에도 활용한다. 여성들의 생리불순이나 심한 생리통에도 연령초가 효과가 있다.

실제 연령초에는 사포닌과 포도당 및 탄닌과 다양한 배당체가 함유되어 있다. 이제까지 밝혀진 연구에서 연령초는 혈압을 떨어뜨리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7월 24일의 탄생석 : 위더라이트 (Witherite) - 독과 정화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