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ife

10월 30일 : 로벨리아 (Lobelia)

by 제임스67 2018. 10. 30.
728x90
반응형
SMALL

🌹 탄생화

꽃말 : 악의
꽃말이야기 : 모든이의 의견을 정확하게 정리 파악하고 옳지않은 생각은 강력하게 배제하는 당신입니다. 때로는 옳지 않아도 화보다는 이해가 필요합니다.

요약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숫잔대과의 한해살이풀.
학명 : Lobelia erinus
계 : 식물계(Plantae)
문 : 피자식물문(Angiospermae)
강 : 쌍떡잎식물강(Dicotyledoneae)
과 : 초롱꽃과(CAMPANULACEAE)
원산지 : 남아프리카
크기 : 높이 10∼50cm

속명의 Lobelia는 영국의 본초학자 Lobel씨의 이름에서 유래. 남아프리카가 원산지이다. 원산지에서는 여러해살이풀인 경우도 있다. 원예 식물로 화단에서 재배한다. 높이는 10∼50cm이고 줄기 밑 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져서 비스듬히 퍼진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의 주걱형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약간 있다.

3∼4월에 파종하면 6∼7월에 꽃이 핀다. 꽃은 연한 하늘색 또는 흰색으로 피고 총상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꽃잎은 5개이고 지름이 1.5cm이며 아래쪽의 3개가 다른 것보다 크다. 자라는 동안 수분을 충분히 주고 햇빛을 잘 쬐어 주어야 한다. 거름은 깻묵 썩힌 물거름이나 뒷거름을 10배로 묽게 하여 2주일마다 준다.

로벨리아 인플라타(L. inflata)를 로벨리아라고 부르기도 한다. 로벨리아 인플라타는 인디언 담배(Indian tabacco)라고도 하고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이며 높이가 1m이다. 잎은 달걀 모양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잎처럼 생긴 꽃이 수상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열매는 타원 모양인데, 한때는 아메리카 인디언들이 열매가 다 자랐을 때 식물체를 약으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지금은 독풀로 알려졌다. 알칼로이드가 0.4% 들어 있고 염산로벨린의 원료로 쓰인다.

이용부위 : 꽃, 잎, 줄기, 뿌리, 씨앗
이용방법 : <이로쿼이(Iroquois) 족 : 뉴욕 주에 살았던 아메리카 인디언.> 들은 삶은 뿌리를 매독 치료제로 사용했으며, 뿌리의 가루를 침대에 넣어 두면 식었던 부부간의 사랑이 다시 생긴다고 믿었다. 동종요법에서는 설사를 멈추게 하는 데 사용한다. 알칼로이드 성분의 하나인 로베린은 호흡기계를 자극한다. 한편 이소로베린 성분은 호흡기계 이완약으로 천식(喘息), 백일해(百日咳), 근육 <염좌(捻挫) : 뼈마디가 외부의 어떤 타격에 의하여 물러앉아 그 둘레의 막이 상하여 그 곳이 붓고 아픈 병.> 의 치료약으로 사용했다. 로베린은 니코틴의 약리적 특성을 많이 갖고 있어 중추신경계를 자극하며 후에는 강력하게 마비된다는 보고가 있었다.
주의 : 치명적인 유독물을 포함하고 있어서 극소량이 처방된다.

🎁 10월 30일의 탄생석 : 핀파이어 오팔 (Pinfire Opal) - 올바른 방향성

728x90
반응형
LIST

댓글